[MG수첩] 디젤차가 가장 많은 '환경부'와 넥쏘에서 G90으로 바꾼 '외교부'
  • 박홍준
  • 좋아요 0
  • 승인 2021.05.14 18:00
[MG수첩] 디젤차가 가장 많은 '환경부'와 넥쏘에서 G90으로 바꾼 '외교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소 중립'은 자동차 산업을 넘어 전 세계적인 화두다. 2019년 영국 정부가 탄소 중립을 법제화한 이후 120여개국에서 그 유사한 발표가 이어졌다. 국내에서도 오는 2050년까지 국가 단위 탄소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정부가 선언한 상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산업과 관련해 환경부는 올해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50년까지 전기·수소차 100% 전환 목표를 내놓았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자동차 업체들과 탄소중립협의회를 출범하고, 목표 달성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더불어 각 공공기관에서는 향후 도입하는 신차 중 80%를 전기 및 수소차로 의무화하는 한편, 내년부터 교체 도래 차량을 100% 친환경차로 바꾸도록 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정책을 주도하는 환경부와 각 부처를 대표하는 장관들의 현재 차량은 어떨까. 

# 환경부 공용차량, 디젤차가 가장 많다?

탄소 중립에서 가장 주도적 역할을 맡고 있는 환경부에 정보공개 청구를 신청했다. 

환경부가 친환경차 및 소형차 이용을 장려하는 것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환경부는 정부 공용차량의 배기량을 줄이거나 친환경차 도입을 촉구했고, 실제로 2011년 '각급 행정기관의 장은 경형 차량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를 구매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대통령령(제 28211호) 개정을 이끌어낸 바 있다. 이뿐 아니라 2005년부터는 노후경유차의 조기 폐차를 지원하고 있으며, 1톤 화물차 및 어린이 통학용 승합차의 파워트레인을 디젤에서 LPG로 전환하는 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공용차량 449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디젤차(169대, 37.6%)다. 전기차와 수소차는 80대로, 디젤차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 측은 "해당 대수는 승합·특수·화물차량이 모두 포함된 수치"라며 "관계 규정에 따라 해당 차량을 보유 대수 산정에서 제외할 경우, 디젤차는 78대"라고 설명했다. 

'공공기관 에너지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제 16조', '저공해자동차 의무구매·임차실적 산정방법에 관한 고시 제 3조' 등 관련 조문에 따르면, 승합·특수·화물차량은 친환경차 우선 구매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더불어 해당 부처의 공용차량 보유 대수에서도 제외시킬 수 있다.

문제는 해당 차량을 제외하더라도 여전히 디젤차가 많다는 점이다. 하이브리드(143대)에 이어 두 번째(78대)로 많다.

더욱이 환경부는 저공해조치 지원사업을 통해 승합·특수·화물차량을 디젤에서 LPG로 전환하도록 유도해왔다. 작년 하반기에는 추가경정예산까지 편성해 지원 규모를 1만500대까지 확대한 바 있다. 이 같은 행보와 달리 환경부 내부에서 디젤 승합 및 화물차의 대안으로 사용하는 CNG·LPG 차량은 21대에 불과했다.

환경부 측은 "공공기관 의무 구매 비중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라며 "교체 시점이 도래하는 노후 차량들은 전량 친환경차로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 장관들의 차, 3대중 1대는 여전히 내연기관

이어 정부 산하 18개 중앙부처 장관의 차량을 살펴봤다. 2011년 '각급 행정기관의 장은 경형 차량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를 구매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대통령령(제 28211호) 개정 이후 도입된 차량이다.

3분의 2가 하이브리드 및 수소차를 이용하는 가운데, 내연기관 차량도 3분의 1을 차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획재정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해양수산부, 여성가족부(그랜저 하이브리드)와 중소벤처기업부(K7 하이브리드) 등 7곳이 하이브리드 차량을 쓰고 있다. 이어 통일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5개 부처가 수소차 넥쏘를 장관 전용 차량으로 쓴다. 

내연기관 차량을 이용하는 곳은 총 6곳이다.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가 제네시스 EQ900을 사용하고, 외교부와 고용노동부가 제네시스 G90을, 국방부는 에쿠스를 이용한다. 

눈에 띄는 부처는 외교부다. 올해 취임한 정의용 장관은 전용 차량을 제네시스 G90으로 교체했다. 전임 강경화 장관이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넥쏘를 이용했던 것과 대조된다. 공용차량 관리규정(대통령령 28211호) 등 관련 지침에 따르면, 공용차량은 등록된 날로부터 10년 또는 12만km를 초과해야만 교체할 수 있는 만큼 기존의 넥쏘를 제네시스로 교체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지적된다.

정의용 외교부장관 (사진=정책브리핑)
정의용 외교부장관 (사진=정책브리핑)

이와 관련해 외교부 측은 "기존 차량(넥쏘)은 운영 및 유지 관리에 애로사항이 있어 외교부가 이미 보유한 다른 차량(G90)으로 교체하게 됐다"며 "전임 장관이 쓰던 넥쏘와 쏘나타는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차량 교체 시) 친환경차 교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청한 한 정부 관계자는 "세종 청사에 입주한 부처들의 경우 수소 충전 인프라가 원활한 탓에 넥쏘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다"며 "반면 광화문이나 과천에 입주한 기관들의 경우 주변 여건상 하이브리드나 내연기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달 말 P4G(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 Partnering for Green Grouwth and Global Goals 2030) 서울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제네시스 G90을 타는 외교부 장관과 디젤차 비중이 가장 높은 환경부 장관은 이번 정상회의 공동 위원장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