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완성차의 구독형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이 등장했다. 열선시트와 조향시스템 등 이미 신차 출고 당시 장착된 기능에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커졌기 때문이다. 

자율주행 시험중인 테슬라. 레벨2 자율주행 '풀 셀프 드라이빙(FSD)'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구독형 서비스다.
자율주행 시험중인 테슬라. 레벨2 자율주행 '풀 셀프 드라이빙(FSD)'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구독형 서비스다.

30일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뉴저지주 민주당 하원의원 폴 모리아티와 조 대니얼슨은 지난 9월, 자동차 구독형 서비스 일부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핵심은 하드웨어 구독이다. 커넥티비티나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등 소프트웨어는 허용하되, 따로 비용이 들지 않는 하드웨어는 금지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제조업체와 딜러사를 대상으로 첫 적발 시 최대 1만달러(약 1325만원), 두 번째는 2만달러(약 2650만원)의 벌금을 물게 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미 완성차 업계에선 구독형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테슬라가 팔고 있는 자율주행 시스템인 '풀 셀프 드라이빙(FSD)'이 대표적이다. 차량 원격제어나 스트리밍, 음악·미디어 콘텐츠 소비,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각종 인포테인먼트와 관련한 구독 서비스도 현대차·기아를 비롯해 제너럴모터스(GM), 토요타 등 다양한 업체가 선보였다. 추가 비용을 지불하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에 이어 하드웨어 구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열선 시트·핸들, 하이빔 보조, 조향 시스템 등이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뒷바퀴 조향각도를 4.5도에서 10도로 늘려주는 상품을 선보였다. 미국 내 판매되는 일부 전기차의 경우 돈을 내면 모터 출력이 20% 가량 늘어나는 서비스도 있다.

국내에서도 BMW 등 일부 업체는 하드웨어 구독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사진은 BMW코리아 구독형 서비스 결제 화면
국내에서도 BMW 등 일부 업체는 하드웨어 구독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사진은 BMW코리아 구독형 서비스 결제 화면

업체에서는 구독형 서비스를 새로운 수익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다. 차를 살 때 이미 해당 기능과 관련된 부품 비용을 다 지불했는데, 또 돈을 내는 게 이해되지 않아서다. '이러다 스티어링 휠, 브레이크, 에어백처럼 필수 부품도 돈 받고 파는 거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에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법안 통과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소비자 여론·업계의 사업 전략에 파급력이 예상된다"며 "오는 12월에 열릴 위원회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미국 내외의 여론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하드웨어 구독형 서비스화를 추구하는 완성차 업계의 사업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법안 통과 시 뉴저지 외 지역에서도 하드웨어 구독형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될 것"이라며 "하드웨어 기능의 구독형 서비스를 구상해 온 완성차 기업들은 사업 방향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모터그래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